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수많은 역사가 왜곡 폄훼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조선은 당파싸움이 심하다는 것이었는데 이 표현에는 조선의 역사를 폄훼하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근래에는 분당정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실제로 붕당은 정치 집단으로 오늘날의 정당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이런 붕당의 형태가 나타난 배경은 조선 건국과 세조의 찬탈에 동참하여 공신이 된 훈구(勳舊)파에 이어 조선 중기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한 사림(士林)의 세력이 이후 정치적 학문적으로 대립 견제함으로써 발달하게 된다.


사림은 동인과 서인으로 분파되었다가 동인에서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고 훗날 서인들은 노론과 소론으로 그리고 노론은 시파와 벽파로 갈라진다.


각각의 주요 분파 과정과 이와 관련한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붕당정치 배경과 전개


각 붕당 세력의 집권과 사건 등을 간략히 설명하면,


선조때 김효은(동인)과 심의겸(서인)의 대립을 시작으로 동인과 서인으로 분파되었는데 이는 두 사람의 집이 각각 도성의 동서쪽에 위치하여 그렇게 불렀다.

이조전랑이라는 벼슬 자리에 누구를 앉히느냐를 두고 두 붕당간의 세력싸움이 원인이 되었고 이후 서인이던 정여립이 동인에 가담하였다가 모반사건을 일으켜 서인의 거두 송강 정철이 기축옥사라 불리는 정여립 모반 사건 관련자의 처벌을 주도하여 서인세력이 집권을 한다.


하지만 정철이 선조의 후계 문제를(광해군으로 후계자를 지목할 것) 거론하였다가 선조의 노여움을 사서 실각하는데 이때 다시 동인이 집권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서인들을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를 두고 온건파인 남인과 강경 처벌을 주장하는 북인으로 나뉘게 된다.


임진왜란 중 분조를 이끌고 외교력을 발휘했던 광해군 때에는 북인 세력이 집권하였으나 곧 인조반정으로 광해군과 함께 북인세력은 몰락하고 서인이 다시 권력을 잡는다.


삼종혈맥인 효종,현종,숙종대를 거치면서 남인과 서인은 주도권을 주고 받았고 서인은 숙종의 아들인 경종(소론)과 영조(노론) 지지세력으로 나뉘면서 노론과 소론으로 분파한다.


이후 영조대에 이르러 집권세력인 노론은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영조를 지지하는 벽파와 사도세자의 죽음을 동정하는 시파로 다시 분열한다.


반응형

세상만사

관리자
글 보관함